주요 비즈니스
[신한은행] 기업금융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신한은행 BaaS’는 무엇인가?
2025.08.27
신한은행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흐름에 맞춰, 기업의 비금융 플랫폼에 신한은행의
금융 솔루션을 적용하는 ‘BaaS(Banking as a Service)’ 사업 모델을 통해 기업들의 다양한 금융 니즈를
해결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한도, 금리 중심의 기업금융을 넘어 고객사의 영업 활동별 맞춤형 금융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이용기업, 사용자, 은행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출시 배경
최근 기업들의 플랫폼 기반 상거래 비중이 증가하는 등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인 기업금융
방식만으로는 다양한 금융 니즈를 충족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신한은행은 기존의 한도 및 금리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 솔루션(서비스)이 융합된 새로운 사업 모델인 신한은행 BaaS를 통해 고객사의 영업 활동별 금융 니즈를
해소하고자 했다. 또한, 고객 접점 채널을 은행 플랫폼에서 고객사 자체 플랫폼으로 확장하여 1:N 영업 방식으로
다변화하고, 더 많은 기업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 주요 특징 및 혜택
신한은행 BaaS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은행의 금융 기능을 파트너 기업의
서비스에 내재화(Embedded Finance)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은행 앱이나
웹사이트 방문 없이 사용하던 플랫폼 내에서 완결된 금융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용기업(고객사): 보유 플랫폼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금융 솔루션 연계를 통해 매출 증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고객): 회사에서 사용 중인 플랫폼 안에서 직접 은행 채널에 방문하지 않고도 금융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주요 서비스 모델
신한은행은 다양한 산업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표준화된 BaaS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며,
각 기업의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3.1.공급망 플랫폼 연계 대출: 제휴사의 수발주 플랫폼과 은행 기업뱅킹의 상거래 데이터를 연동하여
비대면으로 여신을 지원하는 모델이다.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공급망 금융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거래를 돕는다.
3.2.협력기업 집단 대출: 판매기업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구매기업에 은행과 협력하여 구매금융을 제공하는
모델로, 외상거래가 보편화된 산업군에 차별화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한다.
3.3.신한PG 연계 대출: 고객사의 매출을 신한은행 PG(전자지급결제대행)를 통해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실질적인 현금흐름을 반영하여 여신을 지원한다.
3.4.체불e제로 (클린페이): 건설 현장의 임금 체불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개발된 채권 신탁 기반의
대금지급 시스템이다.
4. 성과 및 주요 사례
신한은행은 BaaS 사업에 집중하며 B2B(기업 간 거래)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BaaS 거래 업체 수는 2023년 3곳에서 2024년 97곳으로 급증했으며, 2025년에는 협력사 공급망 대출 규모가
연간 50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1) E社 : 플랫폼 내 철강구매자금 대출 서비스 (IMPL : inventory Mortgaged Purchase Loan) 제공
(2) H社 : 내부 수발주 플랫폼 활용, 구매론 등 공급망금융 서비스 제공
(3) S社 : 신한PG활용 통한 통합 금융서비스 제공
5. 전문가 코멘트
신한은행 관계자는 “‘무차입 기업은 있어도 무결제 기업은 없다’며 디지털 전환 흐름 속에서 기존의 영업 방식을
전면 재정비하고, 다양한 BaaS 모델을 구체화하여 기업들이 자금 흐름과 거래 과정을 더 쉽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 제공된 BaaS 모델만 활용하여 공급망 금융 지원이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BaaS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표준화된 모델을 만들어 둔 것이며, 업체의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BaaS 도입이 가능합니다.
Q. 왜 BaaS가 필요한가요?
A. 디지털 전환으로 기업들의 플랫폼 기반 거래가 급증하면서, 전통적인 한도/금리 중심의 기업금융만으로는
다양한 금융 니즈를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신한은행은 솔루션 중심의 BaaS 모델을 통해 고객사의
영업 활동별 맞춤 금융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Q. BaaS 사업이 기존의 기업여신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A. 은행의 심사 및 지원 기준에 따라 여신을 제공하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고객의 경영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Data에 기반하여 여신을 제공하고 관리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금융 솔루션을 적용하는 ‘BaaS(Banking as a Service)’ 사업 모델을 통해 기업들의 다양한 금융 니즈를
해결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한도, 금리 중심의 기업금융을 넘어 고객사의 영업 활동별 맞춤형 금융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이용기업, 사용자, 은행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출시 배경
최근 기업들의 플랫폼 기반 상거래 비중이 증가하는 등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인 기업금융
방식만으로는 다양한 금융 니즈를 충족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신한은행은 기존의 한도 및 금리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 솔루션(서비스)이 융합된 새로운 사업 모델인 신한은행 BaaS를 통해 고객사의 영업 활동별 금융 니즈를
해소하고자 했다. 또한, 고객 접점 채널을 은행 플랫폼에서 고객사 자체 플랫폼으로 확장하여 1:N 영업 방식으로
다변화하고, 더 많은 기업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 주요 특징 및 혜택
신한은행 BaaS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은행의 금융 기능을 파트너 기업의
서비스에 내재화(Embedded Finance)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은행 앱이나
웹사이트 방문 없이 사용하던 플랫폼 내에서 완결된 금융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용기업(고객사): 보유 플랫폼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금융 솔루션 연계를 통해 매출 증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고객): 회사에서 사용 중인 플랫폼 안에서 직접 은행 채널에 방문하지 않고도 금융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주요 서비스 모델
신한은행은 다양한 산업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표준화된 BaaS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며,
각 기업의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3.1.공급망 플랫폼 연계 대출: 제휴사의 수발주 플랫폼과 은행 기업뱅킹의 상거래 데이터를 연동하여
비대면으로 여신을 지원하는 모델이다.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공급망 금융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거래를 돕는다.
3.2.협력기업 집단 대출: 판매기업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구매기업에 은행과 협력하여 구매금융을 제공하는
모델로, 외상거래가 보편화된 산업군에 차별화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한다.
3.3.신한PG 연계 대출: 고객사의 매출을 신한은행 PG(전자지급결제대행)를 통해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실질적인 현금흐름을 반영하여 여신을 지원한다.
3.4.체불e제로 (클린페이): 건설 현장의 임금 체불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개발된 채권 신탁 기반의
대금지급 시스템이다.
4. 성과 및 주요 사례
신한은행은 BaaS 사업에 집중하며 B2B(기업 간 거래)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BaaS 거래 업체 수는 2023년 3곳에서 2024년 97곳으로 급증했으며, 2025년에는 협력사 공급망 대출 규모가
연간 50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1) E社 : 플랫폼 내 철강구매자금 대출 서비스 (IMPL : inventory Mortgaged Purchase Loan) 제공
(2) H社 : 내부 수발주 플랫폼 활용, 구매론 등 공급망금융 서비스 제공
(3) S社 : 신한PG활용 통한 통합 금융서비스 제공
5. 전문가 코멘트
신한은행 관계자는 “‘무차입 기업은 있어도 무결제 기업은 없다’며 디지털 전환 흐름 속에서 기존의 영업 방식을
전면 재정비하고, 다양한 BaaS 모델을 구체화하여 기업들이 자금 흐름과 거래 과정을 더 쉽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 제공된 BaaS 모델만 활용하여 공급망 금융 지원이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BaaS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표준화된 모델을 만들어 둔 것이며, 업체의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BaaS 도입이 가능합니다.
Q. 왜 BaaS가 필요한가요?
A. 디지털 전환으로 기업들의 플랫폼 기반 거래가 급증하면서, 전통적인 한도/금리 중심의 기업금융만으로는
다양한 금융 니즈를 충족하기 어렵습니다. 신한은행은 솔루션 중심의 BaaS 모델을 통해 고객사의
영업 활동별 맞춤 금융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Q. BaaS 사업이 기존의 기업여신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A. 은행의 심사 및 지원 기준에 따라 여신을 제공하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고객의 경영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Data에 기반하여 여신을 제공하고 관리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