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비즈니스
[신한투자증권] Weekly Guide Book(2025/06/13); 소진된 호재, 잔존한 악재
2025.06.13
Weekly Guide Book (2025/06/13)
소진된 호재, 잔존한 악재
트럼프 관세 정책 이후의 위험 잔존에도 글로벌 주가지수 신고가 경신. 유럽, 중국에 이어 한국도 신정부 기대 반영하며 신고가 랠리에 동참. 다만 소진된 호재, 잔존한 악재 두고 상승 탄력은 약화. 미중 무역협상 재개, 전망치 밑돈 미국 CPI(=금리 하락)에도 주 초 상승분 반납. 주간 S&P500, CSI300 각각 1.8%, 0.4% 상승에 그쳤으나 KOSPI 3.8% 속등. 美 국채 10년 4.2bp 하락에도 한국 국채 발행 확대 우려에 10년물 2.8%까지 속등하며 금리 상승 우려 노출. 중동 리스크 고조에 금 강세와 WTI 급등
미·중 분쟁 진전 확인. 中 희토류 수출 재개, 美 항공 부품 수출 재개와 비자 발급 완화도 합의. 다만 선반영된 주식시장 기대감 채우기에는 역부족.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 변화 부재했고 희토류 수출도 일시적이라는 해석이 지배적. 미·중 무역 합의 지연은 유럽과 일본, 한국과의 협상에도 영향 미칠 전망. 美 5월 물가 예상 하회하며 금리 상승 압력 제어. Headline, Core CPI 공히 전월비 0.1% 상승에 그침. 국제유가 하락에 에너지 가격 하락과 재고 확충 효과에 재량소비품목 안정. 재고 소진 주기와 6월 이후 국제유가 상승세 고려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경계감 잔존
차주 美·日·英 통화정책 회의 개최. 시장 예상에 부합한 결과 예상. 중국 실물지표(소비, 투자, 생산)와 유럽 ZEW경기지수 확인 필요. 재정 부양 의지에도 경기 회복 미진해 지표 수준이 정책 기조 변화에 영향력 미칠 전망. G7 정상회의 개최, 韓 신정부 2차 추경과 상법 개정 구체화 모니터링 필요
소진된 호재, 잔존한 악재
트럼프 관세 정책 이후의 위험 잔존에도 글로벌 주가지수 신고가 경신. 유럽, 중국에 이어 한국도 신정부 기대 반영하며 신고가 랠리에 동참. 다만 소진된 호재, 잔존한 악재 두고 상승 탄력은 약화. 미중 무역협상 재개, 전망치 밑돈 미국 CPI(=금리 하락)에도 주 초 상승분 반납. 주간 S&P500, CSI300 각각 1.8%, 0.4% 상승에 그쳤으나 KOSPI 3.8% 속등. 美 국채 10년 4.2bp 하락에도 한국 국채 발행 확대 우려에 10년물 2.8%까지 속등하며 금리 상승 우려 노출. 중동 리스크 고조에 금 강세와 WTI 급등
미·중 분쟁 진전 확인. 中 희토류 수출 재개, 美 항공 부품 수출 재개와 비자 발급 완화도 합의. 다만 선반영된 주식시장 기대감 채우기에는 역부족.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 변화 부재했고 희토류 수출도 일시적이라는 해석이 지배적. 미·중 무역 합의 지연은 유럽과 일본, 한국과의 협상에도 영향 미칠 전망. 美 5월 물가 예상 하회하며 금리 상승 압력 제어. Headline, Core CPI 공히 전월비 0.1% 상승에 그침. 국제유가 하락에 에너지 가격 하락과 재고 확충 효과에 재량소비품목 안정. 재고 소진 주기와 6월 이후 국제유가 상승세 고려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경계감 잔존
차주 美·日·英 통화정책 회의 개최. 시장 예상에 부합한 결과 예상. 중국 실물지표(소비, 투자, 생산)와 유럽 ZEW경기지수 확인 필요. 재정 부양 의지에도 경기 회복 미진해 지표 수준이 정책 기조 변화에 영향력 미칠 전망. G7 정상회의 개최, 韓 신정부 2차 추경과 상법 개정 구체화 모니터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