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비즈니스

[신한투자증권] Weekly Guide Book(2025/11/7); 기술적 부담을 소화한 한 주
2025.11.07
Weekly Guide Book(2025/11/7)
기술적 부담을 소화한 한 주



주식시장은 실적시즌 이후 AI 모멘텀 공백 속 위험 회피 연출. 채권시장은 연준 12월 동결 우려 되돌리며 10년물 금리 6.8bp 하락했으나 한국 금리 상승세 유지. 주간 기준 S&P500 1.5%, NASDAQ 2.2% 하락하며 과열 진정, KOSPI도 외국인 매도 압력에 1.5% 하락해 기술적 부담 소화 중

금융시장의 불안 심리 자극 요인은 크게 세 가지. 첫째, 미국 대법원의 상호관세 위법 소송 심리 진행. 관세는 의회 권한이며, 대통령 권한 남용에 법원의 직접적 우려 제기. 대법원 판결과 별개로 관세 유지될 가능성은 높으나, 관세의 내·외부 명분 상실 우려는 불확실성을 의미. 둘째, 미국 셧다운 37일째 이어지며 역대 최장 기록 경신. 미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압승과 공화·민주 양당의 중도 성향 변화도 확인돼 예산안 타결 기대 부상. 셋째,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점증. 셧다운 장기화의 지표 발표 공백과 민간 고용 혼선 속 선물시장 12월 금리 인하 확률 62%까지 하락. 非미국 중앙은행 매파적 행보는 금리 인하 종착지에 근접했음을 시사. ECB 중앙은행장들의 매파적 발언, 日 통화정책 의사록에서의 금리 인상 여건 충족 의견, 英 금리 동결 단행과 증세 불안도 불안 요인으로 작용. 韓, 경기 둔화 우려 해소하지 못한 국면에서 연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재부각될 것으로 예상

차주 실적 시즌 마무리 구간으로, 미국 경제지표도 공백. 대형 이벤트 부재한 가운데 관세 판결과 셧다운 우려 모니터링 필요. 한국과 중국의 실물경제 지표가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도 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