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비즈니스
[신한투자증권] Weekly Guide Book(2025/01/17); 트럼프와 인플레이션
2025.01.17
Weekly Guide Book(2025/01/17)
트럼프와 인플레이션
美 경제지표와 금리 변화에 높은 민감도 보였던 한 주. 견조한 고용은 위험 회피 자극. 안정적 물가는 위험 선호로의 되돌림을 반복. 고용 서프라이즈에 10년물 국채 금리 4.8%, 달러지수 110pt까지 일시적 도달. 고금리 부담은 비미국으로도 확산. 독일 10년물 국채 6개월만에 최고치. 다만 물가 압력 재확산 우려는 PPI에 이어 CPI도 시장 예상에 부합하며 안도감 제공. 주간 S&P500 0.3% 상승, Nasdaq 0.7% 하락. 차주 트럼프 취임 앞둔 경계감 지속되는 가운데 1) 관세 중심 정책 불확실성 확산, 2) 견조한 고용과 경기, 3) 러시아 제재 속 송유관 폭발로 WTI 5개월래 최고치 경신의 불안 요인 잔존
주요국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美 비농업고용 25.6만으로 예상치 15.5만 큰 폭 상회. 기대인플레이션 1년, 5년 3.3%로 장기 인플레 압력 지속. 12월 PPI 전월대비 0.2% 상승에 그쳤고 헤드라인 CPI 0.4%까지 확대되나 근원 CPI 0.2%에 그쳐 안도. TSMC와 금융주 호실적도 긍정적 배경. 펀더멘탈과 할인율 간 시소게임의 균형은 물가 압력에 의해 결정. 트럼프 취임 앞둔 중국 불안 요인 확대된 가운데 중국 경제지표는 예상치 상회. 밀어내기 수출 요인이나 생산(6.2%) 활동 호조. 소매판매(3.7%) 회복도 긍정적. 다만 2024년 성장 목표 5% 달성(4Q GDP 5.4%)의 의미 깊어 경기 회복 신뢰도 높지 않음
차주 트럼프 취임식(20일) 빅이벤트, BoJ 통화정책회의 개최 예정. 주요국 PMI 속보치도 관심 필요. 정책 불확실성 잔존과 인플레이션 압력과 연계된 금리, 원자재, 외환시장 변동성 반복 예상
트럼프와 인플레이션
美 경제지표와 금리 변화에 높은 민감도 보였던 한 주. 견조한 고용은 위험 회피 자극. 안정적 물가는 위험 선호로의 되돌림을 반복. 고용 서프라이즈에 10년물 국채 금리 4.8%, 달러지수 110pt까지 일시적 도달. 고금리 부담은 비미국으로도 확산. 독일 10년물 국채 6개월만에 최고치. 다만 물가 압력 재확산 우려는 PPI에 이어 CPI도 시장 예상에 부합하며 안도감 제공. 주간 S&P500 0.3% 상승, Nasdaq 0.7% 하락. 차주 트럼프 취임 앞둔 경계감 지속되는 가운데 1) 관세 중심 정책 불확실성 확산, 2) 견조한 고용과 경기, 3) 러시아 제재 속 송유관 폭발로 WTI 5개월래 최고치 경신의 불안 요인 잔존
주요국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美 비농업고용 25.6만으로 예상치 15.5만 큰 폭 상회. 기대인플레이션 1년, 5년 3.3%로 장기 인플레 압력 지속. 12월 PPI 전월대비 0.2% 상승에 그쳤고 헤드라인 CPI 0.4%까지 확대되나 근원 CPI 0.2%에 그쳐 안도. TSMC와 금융주 호실적도 긍정적 배경. 펀더멘탈과 할인율 간 시소게임의 균형은 물가 압력에 의해 결정. 트럼프 취임 앞둔 중국 불안 요인 확대된 가운데 중국 경제지표는 예상치 상회. 밀어내기 수출 요인이나 생산(6.2%) 활동 호조. 소매판매(3.7%) 회복도 긍정적. 다만 2024년 성장 목표 5% 달성(4Q GDP 5.4%)의 의미 깊어 경기 회복 신뢰도 높지 않음
차주 트럼프 취임식(20일) 빅이벤트, BoJ 통화정책회의 개최 예정. 주요국 PMI 속보치도 관심 필요. 정책 불확실성 잔존과 인플레이션 압력과 연계된 금리, 원자재, 외환시장 변동성 반복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