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비즈니스
[신한투자증권] Weekly Guide Book(2025/02/07); 관세 부과에도 제어된 변동성
2025.02.07
Weekly Guide Book(2025/02/07)
관세 부과에도 제어된 변동성
트럼프발 불안 본격화. 캐나다, 멕시코 25%, 중국 10%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 발동. 중국의 맞대응 관세와 전략 광물 수출 제한에 위험 회피 자극됐으나 캐나다와 맥시코 관세 유예와 시장금리 안정에 위험 회피 진정. 트럼프 1기와 2기의 관세정책 차이점은 1) 관세 정책 충격 최소화 위해 기대인플레이션과 시장금리 상승 제어하려는 트럼프 내각의 노련미가 더해져 금리 상방압력 통제됐고 2) 중국 경기는 위축보다 부양책 이후의 회복 경로가 기대, 3) 실적시즌에서 확인한 우호적 펀더멘탈과 AI와 연계된 기술주 낙관 편향 이어지고 있기 때문. 주간 수익률 기준 주식(S&P500 0.2%, Eurostoxx50 1.4%. CSI300 0.7%), 채권(미국 10년 -8.2bp, 독일 -14.4bp, 한국 -9.5bp) 동반 강세와 국제유가(WTI -2.9%) 안정, 달러(DXY -0.1%) 약보합으로 변동성 통제
美, ADP 민간고용과 주간 실업청구 혼선 존재하나 제조업 PMI 확장 전환 등 견조한 경기 흐름 확인. 中, PMI 50 이하 국면 위축은 부담요인이나 관세 부과와 결부돼 부양책 집행 명분은 되려 확대. 유럽 경기 부진 지속 구간에서 ECB에 이어 BOE 정책금리 인하 단행. 점진적 금리 인하라는 정책기조에서의 시장 예상과도 부합. 다만 25년 성장 전망은 1.5%에서 0.75%로 큰 폭 하향. 영국의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응한 확장 재정, 그에 수반한 채권 발행 확대와 법인세 인상은 여전한 불안 요인. 차주 미국 1월 물가와 소매판매 영향력 높을 전망이며 트럼프발 관세, 지정학 불안에 각별한 모니터링 필요
관세 부과에도 제어된 변동성
트럼프발 불안 본격화. 캐나다, 멕시코 25%, 중국 10%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 발동. 중국의 맞대응 관세와 전략 광물 수출 제한에 위험 회피 자극됐으나 캐나다와 맥시코 관세 유예와 시장금리 안정에 위험 회피 진정. 트럼프 1기와 2기의 관세정책 차이점은 1) 관세 정책 충격 최소화 위해 기대인플레이션과 시장금리 상승 제어하려는 트럼프 내각의 노련미가 더해져 금리 상방압력 통제됐고 2) 중국 경기는 위축보다 부양책 이후의 회복 경로가 기대, 3) 실적시즌에서 확인한 우호적 펀더멘탈과 AI와 연계된 기술주 낙관 편향 이어지고 있기 때문. 주간 수익률 기준 주식(S&P500 0.2%, Eurostoxx50 1.4%. CSI300 0.7%), 채권(미국 10년 -8.2bp, 독일 -14.4bp, 한국 -9.5bp) 동반 강세와 국제유가(WTI -2.9%) 안정, 달러(DXY -0.1%) 약보합으로 변동성 통제
美, ADP 민간고용과 주간 실업청구 혼선 존재하나 제조업 PMI 확장 전환 등 견조한 경기 흐름 확인. 中, PMI 50 이하 국면 위축은 부담요인이나 관세 부과와 결부돼 부양책 집행 명분은 되려 확대. 유럽 경기 부진 지속 구간에서 ECB에 이어 BOE 정책금리 인하 단행. 점진적 금리 인하라는 정책기조에서의 시장 예상과도 부합. 다만 25년 성장 전망은 1.5%에서 0.75%로 큰 폭 하향. 영국의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응한 확장 재정, 그에 수반한 채권 발행 확대와 법인세 인상은 여전한 불안 요인. 차주 미국 1월 물가와 소매판매 영향력 높을 전망이며 트럼프발 관세, 지정학 불안에 각별한 모니터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