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비즈니스
[신한투자증권] [글로벌 자산전략] Trump Scenario
2025.03.18
트럼프 시나리오: 세 가지 단계로의 국면 구분
금융시장 영향: 1) US Only 포트폴리오 변화, 2) 상품에서 자본 제재로 전환
트럼프 시나리오: 세 가지 단계로의 국면 구분
보다 노련해진 트럼프는 1기 정책실기를 반면교사로 치밀하고 강경한 정책 노선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와 제조업 재건의 큰 그림을 유지하면서 정책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예상된다. 세 단계로 구분된다. 현 시점은 Stage1(중국/멕시코/캐나다)에서 Stage2(유럽/아시아)로의 전환 단계다. Stage2 시작은 러-우전쟁 종식이 선결돼야 한다. 1) 에너지+농산품 공급 확대(인플레이션 제어)에 정책 운신의 폭은 넓어지고 2) 광물협정으로 중국의 희토류 규제 위험 제어, 3) 미국 국방 전선이 중국으로 집중되는 효과까지 가진다. Stage3는 미중 분쟁의 전면전이며 통상으로 시작해 기술, 금융, 군사 위험으로 확산되는 패턴이다. Stage2에서 한국 정책 불확실성 고조 예상되고 미중 분쟁 불안에도 대비가 필요하다.
금융시장 영향: 1) US Only 포트폴리오 변화, 2) 상품에서 자본 제재로 전환
미국+기술주 중심 포트폴리오에 변화가 필요하다. 미국 강세장에 갖는 신뢰와 AI 장기 성장 기대의 부정은 아니다. 다만 기존 주도주 이익 모멘텀 둔화가 불가피하고 밸류에이션 대비한 성장 높이도 압도적이지 않다. 장기간 진행된 미국 상대 우위에 전환이 예상되고 가격+재정+이익 기대가 동반된 China Player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 주식과 채권의 균형(=자산배분)도 강조돼야 한다. 유럽, 한국보다 미국 국채 매력을 높이 평가하며 Duration의 점진적 확대 전략도 제시한다.
트럼프의 무역(상품) 규제는 금융(자본)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미국은 대규모 흑자국에게 자국 통화 약세와 강제적 국채 매입을 강요할 수 있다. 마라라고 협정은 환율보다 국채 매입의 강제성을 가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아직 제조업 생산 능력에 한계를 가진 달러의 단기 약세는 득보다 실이 클 수 있고, 재정적자 확대가 불가피한 트럼프 2기에서 부채(이자) 부담 가중이 최대 위험이기 때문이다.
금융시장 영향: 1) US Only 포트폴리오 변화, 2) 상품에서 자본 제재로 전환
트럼프 시나리오: 세 가지 단계로의 국면 구분
보다 노련해진 트럼프는 1기 정책실기를 반면교사로 치밀하고 강경한 정책 노선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와 제조업 재건의 큰 그림을 유지하면서 정책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예상된다. 세 단계로 구분된다. 현 시점은 Stage1(중국/멕시코/캐나다)에서 Stage2(유럽/아시아)로의 전환 단계다. Stage2 시작은 러-우전쟁 종식이 선결돼야 한다. 1) 에너지+농산품 공급 확대(인플레이션 제어)에 정책 운신의 폭은 넓어지고 2) 광물협정으로 중국의 희토류 규제 위험 제어, 3) 미국 국방 전선이 중국으로 집중되는 효과까지 가진다. Stage3는 미중 분쟁의 전면전이며 통상으로 시작해 기술, 금융, 군사 위험으로 확산되는 패턴이다. Stage2에서 한국 정책 불확실성 고조 예상되고 미중 분쟁 불안에도 대비가 필요하다.
금융시장 영향: 1) US Only 포트폴리오 변화, 2) 상품에서 자본 제재로 전환
미국+기술주 중심 포트폴리오에 변화가 필요하다. 미국 강세장에 갖는 신뢰와 AI 장기 성장 기대의 부정은 아니다. 다만 기존 주도주 이익 모멘텀 둔화가 불가피하고 밸류에이션 대비한 성장 높이도 압도적이지 않다. 장기간 진행된 미국 상대 우위에 전환이 예상되고 가격+재정+이익 기대가 동반된 China Player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 주식과 채권의 균형(=자산배분)도 강조돼야 한다. 유럽, 한국보다 미국 국채 매력을 높이 평가하며 Duration의 점진적 확대 전략도 제시한다.
트럼프의 무역(상품) 규제는 금융(자본)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미국은 대규모 흑자국에게 자국 통화 약세와 강제적 국채 매입을 강요할 수 있다. 마라라고 협정은 환율보다 국채 매입의 강제성을 가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아직 제조업 생산 능력에 한계를 가진 달러의 단기 약세는 득보다 실이 클 수 있고, 재정적자 확대가 불가피한 트럼프 2기에서 부채(이자) 부담 가중이 최대 위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