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비즈니스
[신한투자증권] Weekly Guide Book(2025/03/14); 진정되지 못한 위험 회피
2025.03.14
Weekly Guide Book(2025/03/14)
진정되지 못한 위험 회피
트럼프발 불확실성은 지난 강세장 주도한 미국+기술주 패닉셀링 야기. 미국 증시의 급진적 위험 회피는 1) 누적된 가격 부담에서 직면한 2) 트럼프발 관세정책 위험이며, 3) 이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위축 우려로 귀결됐기 때문. 트럼프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강행과 중국, 캐나다에 이어 EU의 강경한 보복 조치에 위험 해소의 단초조차 찾지 못함. CPI, PPI 공히 예상치 하회하나 물가 압력 해소되지 못했고(=기대인플레이션 상승) 14일 예산처리 시한 앞두고 셧다운 경계감까지 부상. 러-우전쟁 휴전에 푸틴 동의 의사 타진과 다국적 기업 러시아 복귀 희망은 긍정적 재료
채권시장은 상?하방 압력 공존. 재정 확장(=국채 발행 확대)과 경기 회복 기대의 유럽, 중국과 경기 둔화 우려 직면한 미국 간 디커플링 지속. 다만 관세전쟁은 경기 위축 우려와 물가 상승 압력을 동반하며 차주 FOMC 앞둔 관망 심리도 작용. 원자재는 차별화. 해소되지 못한 위험에 금값 신고가 재차 경신, 국제유가는 수요 위축과 러-우전쟁 종식의 공급 확대 기대 겹치며 하방 확대
차주 관세 정책 수위 조절과 FOMC와 美, 中 경제지표 발표 예정. FOMC에서의 경제전망(SEP), 점도표, 기자회견에서의 정책노선 변화는 높은 영향력을 가질 전망. 17일 미국 소매판매(예상 0.5%)와 중국 1~2월 누적 소비, 생산, 투자지표의 부양정책 성과 확인 여부도 모니터링 필요
진정되지 못한 위험 회피
트럼프발 불확실성은 지난 강세장 주도한 미국+기술주 패닉셀링 야기. 미국 증시의 급진적 위험 회피는 1) 누적된 가격 부담에서 직면한 2) 트럼프발 관세정책 위험이며, 3) 이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위축 우려로 귀결됐기 때문. 트럼프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강행과 중국, 캐나다에 이어 EU의 강경한 보복 조치에 위험 해소의 단초조차 찾지 못함. CPI, PPI 공히 예상치 하회하나 물가 압력 해소되지 못했고(=기대인플레이션 상승) 14일 예산처리 시한 앞두고 셧다운 경계감까지 부상. 러-우전쟁 휴전에 푸틴 동의 의사 타진과 다국적 기업 러시아 복귀 희망은 긍정적 재료
채권시장은 상?하방 압력 공존. 재정 확장(=국채 발행 확대)과 경기 회복 기대의 유럽, 중국과 경기 둔화 우려 직면한 미국 간 디커플링 지속. 다만 관세전쟁은 경기 위축 우려와 물가 상승 압력을 동반하며 차주 FOMC 앞둔 관망 심리도 작용. 원자재는 차별화. 해소되지 못한 위험에 금값 신고가 재차 경신, 국제유가는 수요 위축과 러-우전쟁 종식의 공급 확대 기대 겹치며 하방 확대
차주 관세 정책 수위 조절과 FOMC와 美, 中 경제지표 발표 예정. FOMC에서의 경제전망(SEP), 점도표, 기자회견에서의 정책노선 변화는 높은 영향력을 가질 전망. 17일 미국 소매판매(예상 0.5%)와 중국 1~2월 누적 소비, 생산, 투자지표의 부양정책 성과 확인 여부도 모니터링 필요